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인생에 대한 생각과 인생 목표(Thoughts on Life and Life Goals)_20250130

인생에 대한 생각과 인생 목표 살아가다 보니 그렇더라. 인생은 원래 진부한 것이라고 자꾸만 사람들은 멀리 있는 것만 찾더라. 나 역시 그러하고 그런데 생각해 보니 또 그렇지도 않더라. 예를 들어, 행복은 결국은 가정의 행복이 궁극적인 것이고 거기서 더 나아가 건강하고 돈 많이 버는 것이다. 그러면서 삶을 온전히 누리는 것이 행복인 것이다.   그런데 매 순간이 전쟁터이자 경쟁이다. 남을 이기지 않고서는 발전할 수 없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어떤 개체이든 살아남기 위한 필수 전략이기도 하다. 가끔 나처럼 개념 없이 경쟁을 포기하게 되면 둘 중 하나다. 완전 또라이던지 완전 천재이던지 나는 이것을 선택할 권리는 없다고 본다. 그저 의식의 흐름대로 살아가다 보면 사회적 관습에 편승하여 살아가든지 아니면 외톨이로 살아가던지 사회가 선택한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은 결국 내 선택은 나의 것이라고 하지만 사회나 집단이 추구하는 삶의 목표에 위반된다면 도태되는 것은 당연한 거고 결국 홀로서기를 못 한다면 사회의 낙오자가 되는 것이다. 물론, 가끔은 초사회적인 존재 즉, 운이 좋은 존재이거나, 천재는 이 모든 것을 뛰어넘어 홀로서기를 하는 존재들이 있다. 예를 든다면, 위대한 정치가, 사업가들이 이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사회적 기조를 따르기 쉽고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민주주의 구조인 것이다. 왜냐하면 민주주의는 다수결의 원칙으로 이루어진 집단이고 조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궁극적 민주주의는 정반합의 논리이지만, 아주 가끔 너무 한쪽으로 기울었다면 이것은 악습과 폐단, 말도 안 되는 일들이 공공연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서로가 견제를 통해 더 나은 세상으로 발전하는 사회가 궁극적 이상적인 민주주의인데 이것은 사실상 어렵다. 왜냐하면 민주주의의 폐단 즉, 경쟁으로 인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는 우리가 학교 수업에서 배웠듯이 국가...

최근 글

나는 오로지 단순히 내가 되고 싶은 것이다.(I Simply Want to Be Myself Alone.)_20241221

추억으로 사는 나(Living on Memories)_20241020

절망 속에서 깨우치다(Awakening in Despair)

2024년 현재를 살아가기 위한 덕목(Virtues for Living in 2024)

폭풍의 눈 속에서_경제 위기 그리고 각자도생(In the Eye of the Storm_Economic Crisis and Survival)

현재를 점검하라(Check Your Present)

AI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나서(The Impact of AI Programs on My Life)

위기 극복 행동 가이드(Crisis Overcoming Action Guide)

가끔은 염치없는 사람이 되어도 괜찮아(It's Okay to Be Shameless Sometimes)